포유류가 야행성이었던 시기는 공룡 시대였다는 연구 결과가 6일(현지시간) '네이처 생태학/진화'에 발표됐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이하 UCL)과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스테인하르트자연사박물관은 포유류가 야행성에서 주행성 동물로 바뀌기 시작한 시기를 공룡 멸종 시기인 약 6,600만 년 전으로 추정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원래 포유류는 야행성 동물이었으며 특정 시점에 주행성 동물로 바뀐 것으로 추측해 왔다. 실제로 현대 포유류의 약 60%가 야행성이다.

공동 연구진은 현재 살아남은 2,415종의 포유류를 대상으로 원시 시대의 활동 패턴을 연구했다.

우선 연구진은 2종의 포유류 계통수로 진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계통수 2종 모두 공룡 멸종 직후에 포유류가 주행성 동물로 바뀌기 시작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변화가 즉시 일어난 것은 아니다. 공룡 멸종 직후에는 낮과 밤에 모두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고릴라, 긴팔원숭이, 타마린 등 원숭이과의 조상이 다른 동물보다 빨리 주행성 동물로 변화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전했다. 하지만 포유류 계통수 2종의 시간적 흐름이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첫 번째 계통수에 의하면 5,200만 년 전경에, 두 번째 계통수에 의하면 3,300만 년 전경에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

이번 발견은 포유류 중 원숭이과가 유독 시각이 뛰어나다는 사실과도 잘 부합한다. 원숭이과는 주행성 파충류와 조류에 버금갈 만큼 색깔 인식을 포함해 시각이 잘 발달했다.

한편 원시시대 포유류는 현대와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고생물학자는 크기는 큰 쥐만 했겠지만 생김새는 뽀족뒤쥐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고대 쥐는 2억2,000만~1억6,0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공룡 멸종으로 인해 포유류가 야행성에서 주행성으로 바뀌었다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케이트 존스 UCL 유전자학, 진화, 환경학 교수는 "오래 전에 살았던 포유류의 활동 변화를 당시 생태학적 조건과 연관시키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운 일이다. 따라서 공룡의 죽음으로 포유류가 낮에 활동하게 됐다고 말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번 연구에서 (인과관계는 아니지만) 상관관계는 분명히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존스는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다.

한편 연구진은 화석으로 연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2가지 근거를 제시했다. 테말 데이얀 스테인하르트자연사박물관장은 "첫째 그 시대 화석 기록은 매우 제한적이고, 둘째 행동의 특성을 화석으로 추정하기 어렵다"라고 전했다.

이어 데이얀은 "현재의 포유류가 낮과 밤 중 확실히 언제 활동했는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 대체로 포유류 화석은 포유류가 야행성이었던 것만은 아닌데도 야행성이었다고 암시한다"라면서 "우리가 낮에 생활하도록 계속해서 진화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연조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조직은 화석에는 남지 않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원시 포유류가 야행성이었음을 증명하는 차원을 넘어, 언제 주행성 동물이 됐는지 사실상 처음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변화가 공룡 멸종 시기에 일어났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공룡 멸종과 포유류 활동 변화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