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쇼핑백을 뒤집어쓴 남성이 파트너와 함께 있다(출처=123RF)

인간이 가지는 공포증의 종류는 다양하다. 그중 하나가 못생긴 것을 혐오하는 추악공포증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현대 시대에 '못생김'을 싫어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추악공포증을 제대로 알아보자.

추악 공포증이란?

장애 관련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 디스오더에 따르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사람들이 자동적으로 추악공포증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흔치 않고 개인에 따라 다르며, 다른 공포증과는 다르게 한 가지 물체에 의해 생기지 않는다. 불안을 일으키고 공황상태에 빠지게 만들어 심한 경우에는 의학의 도움이 필요한 두려움이다.

매시브포비아와 라이브페르소나 사이트에 따르면, 추악공포증은 못생긴 외모나 그에 관련된 물건으로부터 나타나는 과도하고, 비이성적이며 통제 불가한 지속적인 두려움이다. 이 용어는 '나쁜', '불쾌한'이라는 그리스 단어인 'caco'와 '두려움'이라는 뜻의 'phobos'에서 유래되었다.

이 공포증을 겪고 있는 두 사람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제는 서로 다르다. '추함'은 주관적이며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 또한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추악공포증의 원인

추악공포증이 일어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유전 : 불안을 겪는 가족 병력이 있는 사람은 추악공포증에 더 취약하다.

2 못생긴 사람을 부정적으로 보는 주변인이 있을 경우 : 주변인에게서 거부당하기 두려워하는 마음에서 생긴다.

3 비정상적인 표정을 지으며 사람들과 함께 지낼 때 : 특히 범죄나 트라우마로 인해 추한 것을 참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4 낮은 자존감과 자아상 : 다른 사람에게 못생겨 보이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추악공포증을 겪을 확률이 높다.

심리학 매체 잇츠사이콜로지는 "못생긴 사람이나 추악한 요소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게 되는 교육을 받는 사람들이 추악공포증을 겪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인지적 요소도 있다. ▲추악한 물건들로 인해 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비현실적인 믿음을 가진 사람들 ▲추악함과 관련된 위협과 편견에 집착하는 사람들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추악함이 가져오는 위험을 과장되게 보는 사람들과도 연관이 있다.

추악공포증은 내부적,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비록 이 공포증이 유전적이라는 것을 증명한 연구는 없지만, 비슷한 불안장애를 가진 가족을 둔 사람은 추악공포증을 겪기 쉽다.

추악함, 못생김에 혐오적인 관점이나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것도 이 공포증을 유발할 수 있다. 추악함에 대한 불쾌한 사건을 겪거나 트라우마적인 방송을 보는 것도 이런 종류의 두려움을 일으키며 자신이 못생겼다고 생각하는 낮은 자존감과 자아상 또한 추악공포증의 원인이 된다.

▲정신과 의사와 자신의 추악공포증에 대해 이야기 하는 남성(출처=123RF)

추악공포증의 증상

▲어지러움 ▲구역질 ▲발한 ▲공황 발작 ▲빠른 심장박동 ▲구갈 ▲과민 ▲몸 떨림 ▲긴장 등의 증상을 보이며, 특히 추악한 물건을 보면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고 극단적인 감정을 추스르지 못한다. 자기비판적이며, 상대방에게도 비판의 잣대를 적용한다.

추악공포증으로 고통 받는 사람은 추악한 요소를 피하면서 모든 생활을 할 수 있다는 회피적 행동을 보인다. 추악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이나 물건이 앞에 있을 경우 극도의 두려움과 불편함을 느낀다.

추악공포증의 치료법

공포증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 커먼포비아스는 추악함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을 멈추기 위해서는 ▲심리치료 ▲신경 언어 프로그램 ▲인지 행동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소개한다.

결과적으로 외모가 흉측한 사람이나 환경, 물건과 같은 추악함을 보여주는 요소로부터 두려움을 느낄 필요는 없다. 사실 사람들에게 어떤 위험이나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이다. 추악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는 언제 어디서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추악공포증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이 공포증을 겪는 사람들은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한다면, 추악하다고 느끼는 것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두려움과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researchpaper 리서치페이퍼=김성은 기자]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