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는 사람이 과거 관계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출처=123RF)

심리학에서 '전이'라는 개념은 저명한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드에 의해 처음 사용됐는데, 이는 마치 영화가 빈 화면에 투사되는 것과 같이 환자가 그들의 과거 관계를 그(프로이드)에게 투영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프로이드는 전이를 본인이 빈 화면이 되어 환자들의 중요한 문제들과 걱정들을 이해하는데 사용했다. 심리학 전문지 사이콜로지컬 투데이에 따르면, 이러한 치료 방법은 과거에 있던 관계들과 그에 따른 왜곡 현상을 밝혀냈기 때문에 가능했다. 프로이드의 모델에서, 이 과정은 보통 일정량의 치료를 필요로 한다.

일상생활에서의 전이

프로이드는 전이라는 개념을 좀 더 높은 수준으로 가져왔는데, 그럼에도 그 개념은 여전히 사람들의 관계 안에 존재했다. 프로이드에 따르면, 사람들의 인상은 항상 삶에 영향을 주는 다른 사람들과의 과거와 현재의 관계에 의해 여과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절대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새로운 상사는 아버지를 떠올리게 할 수 있다. 엄격하고 직원들을 훈계하려고 하지만, 그럼에도 그들을 열심히 일하도록 격려하고 칭찬해주는 점에서 말이다. 이는 다소 모호한 방식으로 드러나기도 하는데, 가령 데이트 상대가 여동생과 눈이 닮아서 동생을 떠올리게 한다거나, 혹은 말하는 방식이 친구와 비슷해서 친구가 연상되는 경우가 그렇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무의식 상태에서 발생하지만, 여전히 강력하게 인간의 첫인상에서의 매력 혹은 그 반대의 기반을 형성하게 된다. 인간관계에서의 역사는 한 경험과 관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연대기라고 할 수 있으며 심리학에 있어서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전이에 있어서 세 가지의 유형은 개인을 돕기도 한다: 사건이 발생하고 또 사람들이 그것을 잊고 넘어가게 한다거나 그 사건이 사람과의 관계에서 특히 어떤 부분에서 트러블이 일어나는지 힌트를 준다거나,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어떤 부분에서 상처를 받고 그 상처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 그리고 그 상처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자매들에게 있어서의 전이는 누군가를 리더가 아닌, 동료로 본다(출처=게티이미지)

치료 관계에서의 전이

앞서 언급했듯, 프로이드의 환자들은 이전의 관계를 다른 사람에게 투영했다. 그리고 프로이드는 그러한 현상을 그들의 걱정거리나 이슈를 돕는데 사용했다. 그 예시 중 하나는 환자가 상담자에게 감정을 키워가는 것인데, 이를 성적 전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이는 투영의 세 가지 유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나머지 두개의 전이는 각각 긍정적 전이, 부정적 전이이다.

베리웰 마인드에 따르면, 성적 전이는 만약 환자가 상담사에게 연애 감정, 관능적인 인상 혹은 친밀감, 성적 감정 또는 경건함, 숭배하는 듯한 감정을 느끼면 발생하게 된다.

긍정적 전이는 좋은 것일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이 과거 관계에서의 긍정적 측면을 상담자에게 투영할 때 발생한다. 긍정적 전이의 결과는 상담자를 현명하고 배려하는 사람으로 보게 되는 것이다.

부정적 전이는 나쁘게 들릴 수 있지만, 사실 치료 경험을 낫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담자가 이러한 전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때, 이것을 환자와의 대화 주제나 감정적 반응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정적 전이는 특히 유용한데, 만약 상담자가 환자가 정서적 반응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줄 때 유용하다.

반면, 환자가 치료적 관계에서 감정 전이를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아니다. 치료사의 내적 갈등이 환자에게 전달되어 역 전환이 발생하면, 치료사와 환자와의 관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76%의 여성 상담사와 95%의 남성 상담사가 환자에게 성적인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고 고백했다.

기타 유형의 전이

베러 헬프에 따르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이가 있다.

비가족적 전이 :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실제 그들이 어떤 지가 아니라 다른 사람을 투영해서 더 낭만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가족적 전이는 한 사람 삶에서의 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든 발생할 수 있다. 교사나 의사를 개인으로 보기보다는 직업을 기반으로 그 사람을 대하는 태도를 정하는 사람을 예를 들 수 있다.

모성적 전이 : 다른 사람을 어머니의 형상으로 대할 때 나타난다. 그 사람은 자신의 어머니와 긍정적인 유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비슷한 위안을 얻기 위해 접근할 것이다. 만약 어머니와의 관계가 부정적이었다면, 아마 거절당하는 감정이 있을 것이고 그러한 감정을 어머니의 특징을 갖고 있다고 여기는 다른 사람에게 투영할 것이다.

부성적 전이 : 아버지를 바라보던 방식으로 사람들을 대한다는 것만 제외하면 모성적 전이와 거의 유사하다. 그 사람은 다른 사람이 권위적이고 자신을 보호해 줄 것이라 기대할 것이다. 그러나 부정적 전이에서는 거절의 감정과 부족한 사람이라는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

[researchpaper 리서치페이퍼=지은지 기자]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