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좋아하는 수퍼히어로나 가상의 캐릭터인 척 한다면 지루한 일을 하더라도 열심히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된다(사진=ⓒ123RF)

스마트 디지털기기 보급으로 아이들의 집중력이 악화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아예 못 보게 할 수는 없는 노릇. 그렇다면 산만한 아이를 위해 '배트맨 효과'를 이용해보면 어떨까?

미네소타대학 스테파니 칼슨 교수는 아이가 지루한 일을 하는 동안 좋아하는 슈퍼히어로나 소설 속 케릭터처럼 행동하게 하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자기 거리두기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자기 거리두기(Self-distancing)란 외부인의 관점에서 자신의 상황을 바라보는 것을 일컫는다. 아이들이 외부인의 관점에서 자신의 상황을 볼 때 보다 객관적으로 생각하게 돼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이론은 학업이나 집안일에서 집중력을 잃은 어린이들을 도울 수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되면 두뇌의 보상 시스템을 자극한다(사진=ⓒ123RF)

배트맨 효과를 발견한 방법

칼슨 박사와 연구팀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자기 거리두기 전략의 효과를 조사했다. 4~6세 어린이 180명을 실험에 참여시킨 후 랩톱으로 하는 지루한 일을 배정한 후 '좋은 도우미'가 될 것을 요청했다.

기본적으로 아이들이 해야 할 일은 스크린 속에 치즈가 보이면 클릭을 하고 고양이가 보이면 클릭을 하지 않는 것이었다. 아이들은 할 수 있는 한 오랫동안 이 일을 하도록 지시받았다. 그리고 지루해지면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태블릿으로 놀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아이를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때때로 첫 번째 그룹의 아이들에게 '내가 열심히 일하고 있을까?'라고 질문을 던졌다.

반면, 두 번째 그룹에게는 제3자가 아이를 지목하며 '(아이의 이름)가 열심히 일하고 있어?'라는 동일한 질문을 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그룹의 아이들에게는 랩톱으로 일하는 동안 배트맨이나 라푼젤 같은 가상의 캐릭터인 척 할 것을 요청했다. 그리고 일하는 도중 반복적으로 '배트맨 또는 라푼젤이 열심히 일하고 있어?'라는 질문을 던졌다.

세 번째 그룹의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처럼 보이는 의상도 선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세 번째 그룹 대다수가 배트맨 같은 망토를 두르거나 라푼젤처럼 느낄 수 있도록 왕관을 쓴 상태였다.

실험 결과, 6세 어린이들은 4세 어린이보다 오랫동안 일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리고 자신을 가공의 캐릭터로 여긴 세 번째 그룹의 아이들이 가장 오랫동안 맡은 일을 해냈다.

비록 세 번째 그룹의 아이들의 최상의 결과를 제시한 이유는 알아내지 못했지만, 좋아하는 가상의 캐릭터인 척 하며 지루한 일을 하도록 하자 아이들은 다른 관점에서 상황을 보게 됐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즉, 좋아하는 캐릭터로 취급받으면 두뇌의 보상 체계를 자극하게 된 것. 그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불안도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조절하게 되고 실행 능력이 상승했다. 아이들이 이런 방식으로 청소년으로 자란다면 뛰어난 사회적 능력을 갖추고 학업 성적도 뛰어나게 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자녀가 스스로 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에 직면한 경우 원하는 캐릭터가 되어보도록 격려해보는 것이 좋다(사진=ⓒ123RF)

배트맨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

아이들에게 배트맨 효과를 사용하면 인내심을 기를 수 있게 해준다. 아이가 스스로 해결해야 할 어려운 문제나 활동에 직면하게 되면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돼보도록 권장하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가 어려운 일을 혼자서 해내도록 독려해야 한다. 그러나 아이가 갑자기 중간이 그만두려 한다면 아이에게 다른 방식으로 응원할 수 있다. 아이의 진짜 이름을 부르는 대신 아이가 좋아하는 수퍼히어로나 가상 캐릭터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다.

해밀턴대학의 레이첼 화이트 교수는 "강력하고 존경할만한 인물인 척하는 것은 아이에게 해당 캐릭터의 자신감과 능력을 부여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