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도취,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은 모두 사악한 속성이다(사진=게티이미지)

인간의 사악한 속성, 이른바 'D인자'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반 사람들과는 다르게 행동하기 때문에 다루기 어려운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변덕스럽고 지배적이며 때로 오만하게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과 어울리다 보면 대인관계와 자신의 행복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악의적인 부류의 사람들을 '다크 트라이드(Dark Triad')라고 칭하며 '나르시시즘'과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으로 세분화했다.

D인자 이해하기

연구에 따라 모든 사악한 속성(D인자)이 공통분모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D인자란 '정당화를 하기 위해 작용하는 믿음과 함께 개인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일컫는다.

D인자는 성공과 경력, 심지어 건강이 좋다는 예측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상처 입히는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연구팀은 특정한 개인의 D인자를 측정하는 것으로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사악한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펜하겐대학의 잉고 제틀러 교수는 공감 능력이 떨어지고 타인을 상처 입힘으로써 기쁨을 느끼며 타인에게 정신적 또는 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사악한 성격의 사람들에게서 D인자를 공통적으로 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D인자를 이해하기 위해 2,500명을 대상으로 일련의 실험을 진행했다. 그리고 지능검사에서 고득점을 받은 사람들이 다른 유형의 지능검사에서도 고득덤을 받을 수 있다는 심리학자 찰스 스피어만 박사의 연구와 연결지었다. 

제틀로 교수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사악하고 어두운 성격이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며 "예를 들어, 자아도취 또는 사이코패스, 혹은 이 두 가지 속성이 모두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인자는 타인에게 상처 입히는 정도를 나타낸다(사진=게티이미지)

성격의 어두운 측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정적인 상황에 직면하면 움츠리거나 격렬하게 항의한다. 하지만 사악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거의 없다. 

그리고 이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이상하고 부정적인 성격을 표출한다. 따라서 이들을 이해하기란 어려우며 일반 사람들과 구분을 짓게 된다. 영화나 책, TV 프로그램에서 살인자나 연쇄살인범을 대개 소시오패스나 사이코패스로 묘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모텐 모샤겐 박사와 벤자민 힐빅 박사는 사악한 성격과 사악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의 다른 부정적인 속성도 조사했다. 

그리고 연구진은 자기 중심주의(자신의 성과에만 중점)와 사디즘(다른 사람을 괴롭히며 기쁨을 느낌), 심술궂음(복수의 욕망), 도덕적 이탈(윤리적 규칙이 자신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믿음), 심리적 권리(자신이 타인보다 더욱 많은 자격을 누릴 수 있다는 믿음), 사리사욕과 다크 트라이드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누군가 이러한 속성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면 그는 그 이상의 사악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유용한 도구로써의 D인자

한편, 어떤 사람이 악의적인 행동을 한다면 이 사람은 거짓말, 사기, 절도 같은 또 다른 악의적인 활동도 서슴지 않고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D인자로 알 수 있다.

사람의 사악한 측면을 이해한다는 것은 악의적인 행동의 이유와 부정적인 성격이 발현되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사악한 성격 대처하기

먼저, 사악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대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사악한 사람들은 의심과 분노, 수치심 같은 감정을 퍼뜨리는 데 능숙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대해야 한다.

사악한 성격을 가진 사람과 교류를 하게 되면 그들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분노라는 감정은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건강하지 못하며 사람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중요한 점은 사악한 사람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누군가의 실패에서 기쁨을 찾기 때문에 타인에게 상처를 주면서까지 성공을 방해하려고 한다.

따라서 사악한 성격의 사람들과 교류를 지속해 전체적인 건강을 저해할 수 있다면 즉시 경계를 그어 거리를 두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