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해지고 싶은 욕망은 살면서 순간 느낄 수 있는 감정이다(사진=123RF)

완벽해지고 싶은 욕망은 살면서 순간 느낄 수 있는 감정이다. 가령 완벽한 이성을 만나길 고대하고 일부는 시험이나 커리어에서 보다 완벽한 결과를 얻길 원한다. 이는 사람들이 밤 새워 공부하고 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같은 완벽주의는 수 년간 한 개인의 인생을 바꿔 놓을 수 있는, 즉 성공할 수 잇는 긍정적인 특성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잘못 이해해 다른 방향으로 빠진다면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도 있다.

가령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게 만드는 자기 패배적인 생각이나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같은 부족함이나 실패의 감정에서 완벽을 추구하려고 한다면, 스트레스나 불안, 우울, 다른 정신 건강 문제들로 고통 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휴스턴대 사회사업대학원의 연구 교수 브레네 브라운은 완벽주의는 최선을 다하려고 노력하는 것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경우 완벽주의자들은 완벽하지 않으면 어떤 것도 충분하거나 가치가 없다고 믿는다. 자신의 업적과 성과를 다른 사람의 업적에 비교하거나, 성장과 진보를 자랑스럽게 여기지 않고 완벽한 성취에만 집착하는 것이다.

온라인 매체 굿테라피는 이와 관련해 완벽주의자라는 성향을 보여주는 몇 가지 징후를 소개했다. 먼저 끊임없이 완벽을 성취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반면 완벽히 해낼 수 있다는 것을 모를 경우 아예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완성할때는 오래 걸리지 않는 일이 자신에게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경우다.

이외에도 이메일에 두 문장을 쓰는데 30분이나 걸린다던가, 시험에서 일부 점수를 놓친 것을 실패의 징조라고 믿기도 한다. 학습 과정보다는 최종 결과에 집중하고, 다른 사람의 성취 기준을 따르려고 하는 의욕도 보일 수 있다.

 

젊은 세대의 완벽주의 경향

문제는 오늘날 경제의 주요 동인인 밀레니얼 세대가 이같은 완벽주의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수많은 전세계 젊은이들이 심각한 우울증이나 불안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나치게 몰입하고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이처럼 많은 젊은이들이 불안정한 정신 건강을 가지고 있는 이유로, 이들에게 부여된 과도한 기준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젊은 세대들은 비현실적인 이상과 기대를 고수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이루어진 한 연구에서는, 1989~2016년 사이 대학을 다닌 젊은 세대들 가운데서 자기지향적 및 사회부과적,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안과 우울증, 사회 공포증 및 자살 생각 등과 연관이 높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지향적과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보다 무려 2배나 더 높아졌다.

토머스 커런 배스대 보건학부 강사는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경우 "완벽함에 비이성적인 중요성을 부여하고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며, 자기 평가에 있어서는 징벌적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기중심적 완벽주의가 발생한다. 또 자기비판적 완벽주의는 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누구도 완벽해질 수는 없다(사진=123RF)

밀레니얼은 검증된 완벽주의자

배스대학은 최근 1989~2016년까지의 미국과 캐나다, 영국 내 4만 2000여 명의 대학생들에 대한 완벽주의를 연구한 자료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완벽에 더 집착하는 밀레니얼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또 이 세대에서의 완벽주의는 경제적 압력이나 다른 상황으로 엄격하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동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밀레니얼 세대의 지나치게 높은 개인 기준과 자기 평가는 육아 스타일의 변화와 능력주의 증가, 신자유주의 거버넌스라는 3가지 요소의 부산물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더해 임상심리학자인 바바라 그린버그 박사는 소셜 미디어 또한 이같은 평가에 기여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완벽주의는 그러나 고혈압을 비롯한 거식증, 자살 생각, 조기 사망 등 불안과 우울증을 넘어서는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시켰다. 그린버그는 완벽주의가 불안으로 가득 차 있다며, 그러나 누구도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문제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완벽주의에 대한 생각에 빠져들지 않기 위해서는 완벽주의의 위험을 인식하고, 완벽한 결과에 집착하지 않아야한다고 조언한다. 대신 자기 공감을 발전시키고 오랫동안 억제됐던 감정과 경험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