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여러 차례 벌어진 집단학살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집단학살을 미리 막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달 23일, 국제사법재판소(ICJ)는 미얀마 정부에 소수민족 로힝야족 집단학살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을 명령했다. 민족과 인종, 종교로 인한 집단학살의 발단은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32년, 스탈린과 소비에트 연맹은 우크라이나에서 600만~1,000만 명을 살해했다. 20세기 가장 악명 높은 집단학살은 1933~1945년 벌어진 나치 홀로코스트다. 나치로 인해 500만~1,700만 명 이상이 살해당했다. 

집단학살의 발생 원인을 조사한 연구를 살펴보면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불만으로 가득 찬 집단으로 구성된 국가에 민족 언어학적 또는 종교적 분열이 일어나면 집단학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쟁과 경제 공황, 혁명 같은 재앙과 같은 사건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작용해 집단학살이 촉발될 수 있다.

정부의 권한 또한 집단학살과 관련이 있다. 정치학과 루돌프 롬멜 교수는 “정부가 더 많은 권력을 가질수록 국가 엘리트들의 기분이나 변덕, 욕망에 따라 권력이 행사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하며 “다른 국가에 대한 전쟁이나 자국 내 소수민족 살인으로 번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교수는 “정부의 권한을 제한할수록 타인에 대한 공격성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집단학살을 해결할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는 여러 차례 진행됐다.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박물관의 질 사비트 이사는 집단학살이 즉흥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는 “국가가 종교와 인종, 민족성을 근거로 수백만 명을 살해할 수 있는지 판단할 지표가 여러 가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모든 대량학살 사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현재 어떤 국가가 위험에 처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모델을 만들었다. 그 후, 공격이 자행되기 전에 학살이 발생한 국가의 상황을 조사했다. 이 모델은 1인당 국내총생산 변동과 영아 사망률, 전체 인구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을 분석하고 불평등과 빈곤, 경제적 불안정 등의 지표가 있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정책 입안자에게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경고하고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조처할 수 있다”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 결과, 1,000명 이상이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큰 국가로는 콩고민주공화국(31%), 아프가니스탄(24%), 이집트(24%), 남수단(18%), 파키스탄(17%), 예멘(16%), 앙골라(12%) 등이 있었다.

연구팀은 “정치 엘리트들이 위협을 받고 있으며 불안정하다고 느낄 때 대량학살이 발생한다. 완전한 민주주의 체제나 완전한 독재주의 체제보다 불안정한 과도기 체제 상태에서 대량학살이 더 많이 자행된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로 소수민족에 대한 대량학살은 수많은 원인이 얽혀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팀은 개발한 모델로 대량학살 전 예측 및 조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