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지나치게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접촉자 추적 조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염병 전문가는 코로나19 같은 전염병 대처에 접촉자 추적 조사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으로,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와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 발병 당시 접촉자 추적 조사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 

접촉자 추적 조사는 감염된 사람과 가까이 접촉했던 사람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공중보건 전략이다. 보건당국은 접촉자를 발견한 후 병원균에 노출됐을 수 있다는 사실을 통지한다. 자가격리를 권고하고 필수 조치를 시행하고 증상이 나타나는지 모니터한다. 접촉자가 증상을 느끼는 경우 보건당국에 연락하면 필수 치료를 포함해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전염병 전문가 그레고리 폴란드 박사는 “질병 억제를 위해 확산 초창기에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접촉자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발견하면, 전염병 피해를 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팬데믹 상황 때문에 뉴스에서 접촉자 추적 조사라는 용어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면서 일반용어처럼 돼버렸지만, 이 방법은 수년간 의료계에서 사용하던 전략이다.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 질병 확산이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 사용한다. 전염병 학자들은 이 전략으로 전염병 패턴을 파악하고 향후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질병 확산을 억제하는 핵심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세계가 접촉자 추적 조사를 통해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한 두 가지 사건이 있다. 2002년, 중국에서 사스가 발병해 29개국으로 확산된 후 최소 8,000명의 확진자와 74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당시 접촉자 추적 조사로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추적할 수 있었다. 2013년,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바이러스가 발병했을 당시에도 이 방법을 사용했다. 상당히 어려운 과정을 거쳐 결국 에볼라도 억제했지만, 확진자 2만 8,000명과 사망자 1만 1,000명을 발생시켰다.

코로나19 대처용 접촉자 추적 조사는 특정 테스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현재 세계적으로 진단키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관계 당국은 테스트를 반드시 시행해야 할 대상과 장소에 주력하고 있다. 접촉자 추적 조사로 테스트 대상을 좁힐 수 있다. 즉, 각국 보건당국은 이 접근법을 통해 바이러스 노출 확률이 높은 사람들에게 먼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모바일 기술이 지금처럼 개발되기 전에는 기본 집 전화나 영구적인 주소지도 없는 사람이 많아 접촉자 추적 조사는 난항을 겪었다. 조사관들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현장에 나가서 전염성 질병에 노출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찾아야 했다.

오늘날에는 스마트폰이 삶의 일부가 됐다. 수많은 사람이 웹에 연결돼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는 정부기관이 시민을 추적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돼 있어 코로나19 의심 환자 추적에 소요될 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다만, 접촉자 추적을 확대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거짓 양성 확률 때문에 접촉자 추적 조사 프로젝트에 불확실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오늘(12일) 국내 이동통신 3사는 이태원 클럽 주변의 기지국 접속자 명단을 방역당국에 제출했다. 서울시와 보건복지부의 이태원 클럽 방문자 확인을 위한 명단을 요청받았기 때문이다. 개인 위치정보 침해라는 논란이 있지만, 통신사는 통신비밀보호법과 감염병예방관리법에 따라 관련 정보를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다.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