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유역에 건설된 댐(출처=셔터스톡)

전 세계적으로 전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수력발전 시스템이 다수 건립되고 있다.

또한 향후 20년 이내 아마존강 유역 서쪽에서만 151개 댐 건설이 추진될 것이며, 각각의 댐 용량은 최소 2메가와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환경 저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안데스산맥 지역 강에 설치될 댐 여섯 기의 영향을 조사한 국제 연구팀은 중요한 생태학적 결과가 강 상류와 하류에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댐이 제대로 설계되지 않는다면, 댐과 관련 기반시설로 인해 안데스산맥 상류수에 재앙과도 같은 변화가 생길 것"이라며 "아마존 지역 전체와 인근 거주자 수백만 명에게도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해 8월 발표된 이번 연구는 야생동물보존협회(WCS)와 자연과 사람을 위한 과학(SNAP), 국립아마존연구협회(INPA)를 포함한 여러 단체 협업으로 진행됐다.

연구를 통해 추정한 여섯 개 댐 건설로 인한 가장 극적인 영향은 그동안 하류로 이동됐던 침전물이 연간 8억 9,400만 톤씩 감소한다는 것. 이 수치는 안데스산맥에서 내려온 모든 침전물의 69%를 의미하며, 아마존 유역 전체 침전물의 64%에 해당한다.

이 결과는 아마존 지역 주요 경로에 확산될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중앙 범람원과 삼각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안데스산맥은 아마존 수역의 11%를 차지하고 있지만, 침전물의 93%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체 강에 영양소 대부분을 전달하고 있다. 침전물의 역동성은 아마존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안데스산맥의 바위와 모래, 흙, 영양분을 아마존 유역까지 전달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선임 저자 겸 INPA 과학자 브루스 포스버그 박사는 "댐으로 인해 침전물과 영양소가 줄어들면서 강에 의존하고 있었던 여러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주변 야생동물에게 격변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안데스산맥이 아마존강 침전물의 주요 원천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댐 건설로 인해 아마존강 유역의 지형에는 극적인 변화가 다가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를 테면 강의 물골이 더욱 깊어져 홍수로 인한 피해는 줄어들지만, 범람원의 영양분과 침전물에도 변화가 생겨 인간과 아마존강에 서식하는 어종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안데스산맥의 퇴적물 유입이 69%까지 감소해 아마존강에 인과 질소의 공급이 각각 51%, 23%씩 감소한다. 인과 질소는 중앙 아마존 범람원과 삼각주 지역 전반에서 이뤄지는 농업 및 수중 생물에 중요한 물질이다.

인의 감소는 어류의 먹이인 미세 유기체, 식물성 플랑크톤의 감소를 의미하며 그 결과 이 지역에서의 어획량의 약 40%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질소 감소, 토양의 질 저해

한편, 질소의 감소는 토양의 질을 열악하게 만들어 농업 생산성 또한 하락한다. 그 결과 화학 비료 사용에 의존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부작용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연구진은 범람원이 건조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범람원 지역 어획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페루 정부는 일시적으로 페루 지역 아마존 유역에서 주요 수력발전소 개발을 중단한 상태다. 페루에서 에너지 공급이 과잉상태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는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결단이었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크고 다양성이 풍부한 담수 생태계인 아마존강 유역은 수십억 인류에 영향을 미친다. WCS 줄리 쿠네드 박사는 안데스산맥 유역의 기반시설 개발은 전체 생태계의 장기적인 결과를 살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해당 지역 식량 보안에 어획량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향후 대책은?

정부 및 비정부 기관은 생태계 및 식량 보안을 침해하지 않도록 협력을 통해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 안데스산맥 댐 건설은 지역 생태계 및 식량 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략적인 개발 계획을 세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 개발 계획으로 인해 위험성이 혜택보다 크다면,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해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는 것도 방법이다.

[researchpaper 리서치페이퍼=심현영 기자]

저작권자 © 리서치페이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